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4

[4장]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개정판)

Chapter 04. 데이터 전송의 기초 1. 송신 호스트가 수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두 가지 과정을 거쳐야 한다. (①)은 전달 경로가 둘 이상일 때 어느 방향으로 전달할지를 선택하는 기능이다. (②)은 특정한 물리 매체에 일대일로 직접 연결된 두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① : 교환, ② : 전송 2. 두 호스트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의미하는 (①) 방식은 컴퓨터 통신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전송되는 (②), 프로토콜 자체에서 일대다 전송 기능을 구현하여 동작하는 (③)이 있다. ① : 유니캐스팅, ② : 브로드캐스팅 방식, ③ : 멀티캐스팅 방식 3. 응답 프레임의 종류에는 두 가..

[3장]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연습문제(개정판)

Chapter 03. 네트워크 기술 1. 교환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①) 방식은 고정 대역이 할당된 연결을 설정한 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고, (②) 방식은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① : 회선 교환, ② : 패킷 교환 2. 데이터를 패킷 교환 방식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는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①) 방식은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지만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 가상 연결을 설정하므로 모든 패킷의 전달 경로가 같다. 반면, (②) 방식은 패킷의 경로 선택이 독립적이다. ① : 가상 회선, ② : 데이터그램 3. LAN 환경에서 사용하는 버스형 구조에서 둘 이상의 호스트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려고 하면 공유 버스에서 데이터 (①..

[2장]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연습문제(개정판)

Chapter 02. 네트워크 모델 1. 네트워크 주소 표현 방식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①) 표기 방식과 특정 사용자를 그룹으로 묶어서 지칭하는 (②) 표기 방식이 있다. ① : 브로드캐스팅, ② : 멀티캐스팅 2. 컴퓨터 네트워크의 전송 오류에는 데이터가 깨져서 도착하는 (①) 오류와 데이터가 수신 호스트까지 도착하지 못하는(②) 오류가 있는데, 이와 같은 전송 오류 문제는 (③) 기능이 해결한다. ① : 변형, ② : 분실, ③ : 오류제어 3. 일반적으로 송신 호스트가 데이터를 너무 빨리 전송하면 수신 호스트가 데이터를 잃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송신 호스트의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 ) 기능이 필요하다. 답 : 흐름 제어 4. 프로토..

[1장]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연습문제(개정판)

Chapter 01. 네트워크의 기초 용어와 기능 1. 컴퓨터 네트워크는 전송 매체를 매개로 서로 연결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이다.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을 (①)라 하고,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할 때는 임의의 통신 규칙을 따르는데, 이 규칙을 (②)이라 한다. ① : 인터페이스, ② : 프로토콜 2. 통신용 매체를 공유하는 여러 시스템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이들을 하나의 단위로 통칭하여 (①)라 부른다. (①)끼리는 (②)라는 중개 장비를 사용해 상호 연결한다. ① : 네트워크, ② : 라우터 3. 서로 다른 시스템이 연동해 동작하려면 표준화라는 연동 형식의 통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인터넷은 ( )라는 표준화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하..